반응형 IT60 리눅스 파일을 삭제하지 않고 용량만 0 으로 만들기 cat /dev/null > filename /dev/null은 널(NULL) 장치이다.(윈도우의 휴지통) 이 장치로 쓰여진 모든 출력은 버려진다. 프로그램 소스파일 컴파일 시 화면에 어지럽게 뿌려지고 정신 사납고 원하지 않는 출력문을 보기 싫을 때 종종 /dev/null로 리다이렉트 하곤 한다. 아래는 그 예 이다. 00 05 * * * su - root -c '/root/backup.sh' > & /dev/null 2012. 12. 11. visual c++ 2010 express 설치 Visual C++ 2010 express 설치1. Visual Studio 공식 사이트에 접속하세요 (클릭)2. 아래 그림과 같이 2010 Express 를 클릭하세요.3. + Visual C++ 2010 Expree 클릭 4. Download language에 원하는 언어를 선택(대부분 '한국어' 또는 'english') 한 뒤 Install now 다운로드 완료 되면 여타 다른 프로그램과 같이 디폴트 'next' 혹은 다음 다음 (라이센스 동의)만 하면 된다. 2012. 12. 10. 파일 업로드 취약점? 파일 업로드 취약점이란? 파일 업로드(File upload) 취약점은 애플리케이션 개발/운영 환경과 동일한 언어로 작성된 공격 파일을 웹 서버 측에 업로드 한 후, 원격으로 해당 파일에 접근하여 실행시키는 취약점이다. 업로드 파일 확장자 제한 우회 웹 사이트의 게시판을 보면 글 작성 시 이미지 파일이나 틀정 문서를 업로드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보통 대다수 유저들은 프로그래머가 의도한 대로 웹 페이지를 이용하지만, 악의적인 의도를 갖고 접속하는 사용자가 있기 마련이다. 그래서 실제 사이트에 저장되는 파일에 대해 검증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러한 방법으로 웹 프로그래머는 스크립트를 이용해 파일 확장자를 제한하였다. 다음은 일반적인 업로드 검증에 사용되는 JavaScript 코드 샘플 2012. 12. 8. 해킹, 침해사고 분석 해킹 침해사고 분석저자송대근 지음출판사지앤선 | 2009-04-24 출간카테고리컴퓨터/IT책소개침해사고를 막아라! 안철수연구소 CERT팀 주임연구원 송대근의...글쓴이 평점 최근의 보안관련 이슈는 네트워크 레벨의 해킹 시도가 어려워 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공격이 용이한 웹 서비스를 대상으로 한 공격이 증가 되었고, 현재도 증가되고 있다. 즉, 웹을 이용한 기업이나 개인의 활동이 증가되면서 금전적인 부분이 더해짐으로써 웹 서비스 해킹 확산을 부추기게 되었고, 이로 인해 악의적인 공격자 또는 사용자에게 웹 서비스가 상당히 매력적인 대상이 되었다. 예전에 해킹을 통해 기술을 과시하던 프로그램 및 시스템 고수의 모습은 사라지고 사업화, 대량화의 모습만 남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해킹에 의한 피해를 줄이고,.. 2012. 12. 8. 지금 온라인 세상에선 '파밍'과의 전쟁 중 ※ 파밍 사람들을 속여 은행 계좌, 신용 카드, 주민등록 번호 등의 개인정보를 빼내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피싱에서 발전된 사기기법. 파밍은 사용자가 합법적인 웹 주소로 들어간 경우에도 멀웨어나 스파이웨어를 이용해 사용자를 진짜 웹 사이트에서 가짜 웹 사이트로 유인합니다. (스푸핑, DNS 캐시 포이즈닝 기법) 한마디로, 해커가 고객PC에 악성코드 등을 설치하여 고객이 정상적인 주소를 입력해도 위조 사이트(가짜 사이트)로 이동하도록 하여 고객정보(은행 계좌, 신용 카드, 주민번호)를 탈취하는 해킹방식의 사기. ※ 악성코드 , 멀웨어, 스파이웨어 용어가 궁금하신 분은 클릭 하세요. ------------------------------------------------------- 아래의 그림과 같은 파일.. 2012. 12. 6. 키워드로 돌아보는 2012년 10대 보안위협 대표적인 2012년 10대 보안 위협 키워드 △안드로이드 위협 본격상륙 △APT공격 기승 △전자금융 사기 활개 △성인동영상 악성파일 기승 △온라인 게임계정 탈취 봇물 △사회공학 기법 꼼수 △SNS 악성파일 매개체 △정상프로그램 위변조 △사이버 협박범 랜섬웨어 △사이버 무기 창궐 너무 많은 이슈가 있지만 내가 생각한 주요 위협을 간추려 보자 . 별도 정보를 얻고 싶은 분들은 아래의 출처 및 원본기사 링크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안드로이드 보안위협 폭발적 증가와 국내상륙 공식발견 안드로이드 기반(갤럭시, 넥서스, 옵티머스) 스마트폰 이용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안드로이드 이용자를 겨냥한 보안위협도 비례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2년은 외산 안드로이드 악성앱 변종들이 폭발적으로 증.. 2012. 12. 6. 이전 1 ··· 6 7 8 9 1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