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최근 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문제)는 올해 마지막 남은 기준금리 인상이 어디까지 올라갈 것인지, 내년 기준금리 예상 최고점이 얼마나 높을까입니다. 연준위원들은 FOMC 회의에서, 파월은 기자회견에서 돌아가면서 밑밥을 깔았지요.
2. 그 바로미터가 오늘 22:30 소비자물가지수(인플레이션 척도)에 따라 방향성이 결정날 것 같습니다. (예측 7.3%)
증시는, CPI결과가 예측치(7.3%)보다 낮으면 시장은 급등할 것이라 JP모건 등 유명 증권사들은 전망하고 있으나, 저는 변덕스런 시장이 경기침체 우려를 확인해서 오히려 증시가 급락하거나, 급등 후 급락할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어쨌든 많은 전문가와 유튜버들은 CPI결과가 낮으면 증시에 긍정적으로 보고 있는 상황입니다.
3. 11월 소비자물가지수 CPI 수치가 발표된 후 즉시 FOMC회의가 열리고, 이틀 간 진행되는 FOMC회의에서 2022년 올해 마지막 금리인상을 얼마나 올릴지 결정합니다.
4.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4.00%
5. 올해 최종 금리 전망은 대다수 FOMC 위원들은 4.5% 전망, 일부 위원들은 4.75% 전망, 즉 베이비스탭 0.05% 인상이냐 또는 5연속 자이언트스탭 0.75% 인상이냐 이슈
6. 연준의 FOMC발표는 한국시간 12월 15일 03:00 입니다. 잠 못드는 하루가 될 것 같아요.
'도서 > 경제연구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경기 불확실성에 따른 금융기관이 주목하는 리스크 및 대응 (20) | 2022.12.20 |
---|---|
11월 CPI, 예상치보다 하회 (7.1%), 12월 FOMC 결과 주목 (10) | 2022.12.14 |
직무 수행 요건 강조, 채용 요건에서 학위 제거하는 미국 기업들 (10) | 2022.12.03 |
댓글